언제 이거 다시 한 번 해봐야 되겠다.
keep-alive
설정 때문이었을까?
12.12.16 16:50
me2p흥p가 .xml을 받아다가 SimpleXML을 넘겨주니까 형변환 하기가 좀 거시기해서 .json으로 받으려고 해봤는데 반응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느리다. 호출하는 서버에서 뻘짓을 하는 건지 응답하는 서버에서 어버버를 하는 건지 모르겠다. 직접 호출은 잘 되는데.
by kz
공무원을 위한 변론
중에, 소득수준이나 인종적 구분에 따라 지역환경의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관료의 개입 때문이라기보단 기술의 발달이나 도심의 확장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그러한 차이 가령 하수관로의 노후 같은 걸 그냥 유지하는 건 차별이 아닌가?
by kz
이건 측정'기'가 아니니까요. 생긴 모양새나 사용 방법 -봉인을 뜯어서 설치하고 일정 기간 후에 제조회사로 보내서 판독의뢰- 을 보건대 알파선이 닿으면 흔적이 남는 건판 같은 게 아닐까싶네요. 회사에선 그 건판을 현상해서 흔적의 갯수를 세어보거나 하겠죠(……)
12.12.15 21:45
알파트랙, 이라고 써 있다. 일련번호도 있는 것 같고. 크리스마스 장식이 하나만 뜬금없이 매달렸다 싶었는데 그게 아니었나보다. 뭐 하는 물건이지?
by kz
교체용 공유기 구매. 미개봉 중고라고 시중가보다 좀 덜 줬다. 간만에 구로까지 왔네.
12.12.15 17:45
갑자기 공유기가 꺼졌다. 다른 전기 제품은 전혀 이상이 없어 보인다. 외부에서 뭔가 과부하를 먹은 건가 했는데 광랜 모뎀은 멀쩡하니 그것도 아닌 것 같고. 그냥 수명이 다 한 건가? 2009년 11월 구매라고 되어 있으니 3년 남짓인데, 고장도 아니고 그냥 가버리다니...
by kz
경영진은
잘 알려진 쓰레기
를 만들지 않도록 신경써주면 좋겠다. 거품은 금방 터진다.
12.12.15 17:21
동방신기 사태도 그렇고 드라마 '드림'에서도 그렇고 문제는 기획의 존재다. 100의 재능이 120이 되도록 하면 좋은 거지만, 50 짜리를 어떻게든 80으로 끌어올리고 거기에 포장과 선전으로 150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 문제는 기획이 접으면 그대로 접혀야 한다는 거.
by kz
갑자기 공유기가 꺼졌다. 다른 전기 제품은 전혀 이상이 없어 보인다. 외부에서 뭔가 과부하를 먹은 건가 했는데 광랜 모뎀은 멀쩡하니 그것도 아닌 것 같고. 그냥 수명이 다 한 건가? 2009년 11월 구매라고 되어 있으니 3년 남짓인데, 고장도 아니고 그냥 가버리다니...
by kz
이제라도 검색 기능이 생긴 건 다행이지만 1.X때보다 나아진 게 없군요 orz 저도 앱에서는 내 글만 찾기나 친구 글만 찾기가 안 되는 게 예전부터 아쉬웠는데… 이런 건 개선을 안 해주면서 별 필요없는 새 기능만 추가하고 신버전이라고 내놓는 게 서운합니다.
12.12.12 22:16
앱에 글 검색이 들어가긴 했는데, 이전과 마찬가지로 전체 영역에서만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 글을 검색하고 내 친구 글을 검색하는 건 전혀 다른 동작이라서 앱에 붙이기는 힘든 걸까? /
미투도우미
님, 검색 기능이 제대로 갖춰지면 좋겠습니다.
by kz
아이폰 사파리는 여덟 개까지만 탭을 열어둘 수 있다. 이미 여덟 개가 열려있는데 주소를 더 주면 하나가 사라진다. 뭘 없앨지 어떻게 결정하는지는 안 챙겨봤다. 다만 궁금한 건, 굴러온 탭에 밀려난 박힌 탭은 어디 갔나 하는 거다. 이걸 신경써야 한다는 게 참 불편하다.
by kz
아이폰 사파리는 여덟 개까지만 탭을 열어둘 수 있다. 이미 여덟 개가 열려있는데 주소를 더 주면 하나가 사라진다. 뭘 없앨지 어떻게 결정하는지는 안 챙겨봤다. 다만 궁금한 건, 굴러온 탭에 밀려난 박힌 탭은 어디 갔나 하는 거다. 이걸 신경써야 한다는 게 참 불편하다.
by kz
특정 토큰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noop 호출을 쓰도록
안내
하고 있는데 이게
호출수 제한
에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noop 호출만 발생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했을 때 성공과 실패의 반환이 일정하지가 않아서요. 그리고 호출수는 토큰 단위인가요, 앱 단위인가요?
by kz
kz
음 네 그래도 짧은순간에 바뀌는건 아니라서 noop을 호출하는 적절한 인터벌이 필요할거같습니다 1일1회정도만 해도 대부분은 커버될거같구요
12.12.10 22:46
특정 토큰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noop 호출을 쓰도록
안내
하고 있는데 이게
호출수 제한
에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noop 호출만 발생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했을 때 성공과 실패의 반환이 일정하지가 않아서요. 그리고 호출수는 토큰 단위인가요, 앱 단위인가요?
by kz
오바마가 전자기기 잘 쓴다고 부러워하면서 우리나라도 대통령이 그러면 좋겠다는 얘기를 봤다. 그런 거 꿈꾸지 말고 일단
댁들부터
잘 좀 써라. 우리나라 전산 환경이 구린 게 사실이긴 하지만 이미 잘 되어 있는 것들마저도 제대로
꾸려서
쓰질 않잖아.
12.12.10 22:25
운동권 사람들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작게 열렸나보다. 그 후기를 보는데, 데이터 축적이 안 된다는 점이 가장 눈에 띈다. 게시판이며 메일이 뭔지 내부를 모르니 그 원본을 축적하고 다듬어 갈 수가 없고, 업체들은 자료 이동성이나 자기정보결정권과는 안 친하고 싶어하지.
by kz
오바마가 전자기기 잘 쓴다고 부러워하면서 우리나라도 대통령이 그러면 좋겠다는 얘기를 봤다. 그런 거 꿈꾸지 말고 일단 댁들부터 잘 좀 써라. 우리나라 전산 환경이 구린 게 사실이긴 하지만
이미 잘 되어 있는 것들
마저도 제대로
꾸려서
쓰질 않잖아.
12.12.10 22:25
아무리 내가 호의를 발휘해도 400km 떨어진 곳에 있는 컴맹을 상대로 원활하게 도와주기란 난망한 일이다.
by kz
오바마가 전자기기 잘 쓴다고 부러워하면서 우리나라도 대통령이 그러면 좋겠다는 얘기를 봤다. 그런 거 꿈꾸지 말고 일단
댁들부터
잘 좀 써라. 우리나라 전산 환경이 구린 게 사실이긴 하지만
이미 잘 되어 있는 것들
마저도 제대로 꾸려서 쓰질 않잖아.
12.12.10 22:25
XE는 내부적으로 잘 만들어진 거 같기는 한데, 두터운 사용자층에 비해 개발에까지 손을 대주는 사람들은 없다는 느낌이다. 납득할 수 없는 부분에 오타 등이 아직 남아있는 걸 보니.
by kz
kz
말씀하신대로하면 그렇게 되겠네요 다만 noop호출을 모든 api호출에 앞서 하는게 맞을지는 좀 고민이네요
12.12.10 20:32
특정 토큰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noop 호출을 쓰도록
안내
하고 있는데 이게
호출수 제한
에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noop 호출만 발생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했을 때 성공과 실패의 반환이 일정하지가 않아서요. 그리고 호출수는 토큰 단위인가요, 앱 단위인가요?
by kz
특정 토큰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noop 호출을 쓰도록
안내
하고 있는데 이게
호출수 제한
에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noop 호출만 발생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했을 때 성공과 실패의 반환이 일정하지가 않아서요. 그리고 호출수는 토큰 단위인가요, 앱 단위인가요?
by kz
구매금액 중 80%를 상품권으로 환급... 그런 데 속는 사람이 있긴 있었군요(......)
12.12.07 21:53
소비자 고발에 공기청정기 얘기가 나오는데, 구매금액 중 80%를 상품권 환급한다는 조건으로 샀더니 쓸 수 있는 상품권도 아니고 물건 사후관리도 안 되고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어느 모로 보나
사기
일 게
뻔해
보이는데 그걸 산 사람도 참... 그나마 물건 자체는 멀쩡하다나.
by kz
소비자 고발에 공기청정기 얘기가 나오는데, 구매금액 중 80%를 상품권 환급한다는 조건으로 샀더니 쓸 수 있는 상품권도 아니고 물건 사후관리도 안 되고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어느 모로 보나
사기
일 게 뻔해 보이는데 그걸 산 사람도 참... 그나마 물건 자체는 멀쩡하다나.
12.12.07 21:32
02-983-2393에서 전화가 왔다. http://www.missed-call.com/ 에 가보니 사기 냄새가 넘쳐난다. 설명 들을 때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게 있냐고 물었더니 아직 초기라서 없다고만 했고, 그럼 설명자료를 메일로 보내달라고 했는데, 뭐 답은 없네.
by kz
소비자 고발에 공기청정기 얘기가 나오는데, 구매금액 중 80%를 상품권 환급한다는 조건으로 샀더니 쓸 수 있는 상품권도 아니고 물건 사후관리도 안 되고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어느 모로 보나 사기일 게
뻔해
보이는데 그걸 산 사람도 참... 그나마 물건 자체는 멀쩡하다나.
12.12.07 21:32
만화에서 온갖 사기 수법을 보면서 너무 뻔하다 싶었는데, 방송을 보니 만화에서 본 사기 수법이 공공연히 오가는구나.
by k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