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트
한동안 안 봤더니 많이 쌓여서요ㅎㅎ 휴일에 잉여함을 즐기고 있습니다
12.01.28 23:03
긴장감이 2% 부족하다. 법정·수사물의 얼개는 증거물과 증인 공방으로 어느 정도 갖췄는데 치밀하게 밀고 나가기 보다는 극의 진행을 위해 존재한다는 느낌이 남는다. 가령, 점빵 영감은 눈이 어두워 밤에 번호판을 볼 수 없었을 거라는 지적이 나왔어야 하는데 그냥 넘어갔다.
by kz
긴장감이 2% 부족하다. 법정·수사물의 얼개는 증거물과 증인 공방으로 어느 정도 갖췄는데 치밀하게 밀고 나가기 보다는 극의 진행을 위해 존재한다는 느낌이 남는다. 가령, 점빵 영감은 눈이 어두워 밤에 번호판을 볼 수 없었을 거라는 지적이 나왔어야 하는데 그냥 넘어갔다.
by kz
그나마 착한 전봇대를 그리려고 노력하긴 했는데, 비서 말마따나, 절차를 무시하면 안 된다. 정부가 몇몇 자연인의 자의로 전복되는 걸 막기 위해 그 수많은 절차와 공무원이 존재하는 것 아닌가. / 한편으론, 장자연 건을 너무 쉽게 소비하고 지나가서 좀 당황스럽기도 했다.
12.01.28 15:05
처음에 전봇대를 언급하고 전봇대를 뽑았을 때 우리는 '이건 아니다.' 라는 것을 인지하고 긴장했어야 한다. 그에게 '이딴 식으로 일하면 곤란하다.' 라는 경고를 보냈어야 한다.
- 이미
많은 사례
가 있었지만 사람들은 그 의미를 알고 싶어하지 않았지.
by kz
행정구역
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by kz
구글 트렌드랑 묶어서 선거구별 후보자 검색순위를 만들어봐도 흥미롭겠네여 그걸 출구조사 자료하고 연동해서 또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아봐도 재밋을 듯하네요 ㅎㅎㅎ
12.01.27 23:39
행정구역
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by kz
행정구역
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by kz
행정구역
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by kz
8-1) 여러 shp를 원본으로 사용해도 전체 동작에 문제가 없도록 할 필요가 있겠다. 고려할 점은 a) 필드의 갯수나 특정 의미를 가지는 필드명이 다를 수 있다. b) 기준 srid가 다를 수 있다. c) 도/시/동 등으로 정밀도가 다를 수 있다.
12.01.27 22:11
python manage.py syncdb 하나 통과하는 게 이렇게 어려운 거였나;
by kz
연혁별로 선거구를 보유한다면 당대의 행정구역에 대해서도 연결해줄 수 있어야 할 테니 행정구역 전체에 대한 정보도 연혁별로 따로 있어야 되는 건가?
12.01.27 22:05
행정구역
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by kz
아니면, 아예 선거구 지도만 따로 보유하고, 각 지역이랑은 연결 정보만 보유하는 것도 괜찮을까?
12.01.27 22:04
행정구역
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by kz
행정구역
별 차트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12.01.27 22:02
행정구역별로 지도 조각을 준비해서, 지정한 지역과 그 주변지역을 이미지로 뽑아주는 처리. 일단 기본적인 동작은 결과를 본 셈이다. 보기 좀 이쁘게, 성능 문제 없게, 쓰기 편하게 만드는 게 다음 차례.
by kz
행정구역별
차트
의 활용으로
선거구
에 투표율이나 득표수 같은 걸 표시하는 것도 좋겠다. 선거구는
공직선거법
별표로 들어가 있는데 시군구 내지 행정동을 묶어서 선거구를 정하고 있다. 행정동 지도를 구하고 그걸 묶어주는 선거구 단위를 만들면 차트 처리하는 건 어렵지 않겠다.
12.01.27 22:02
python manage.py syncdb 하나 통과하는 게 이렇게 어려운 거였나;
by kz
모모
...이건 좀 충격이네요. 그런 얘기와 비슷한 얘기가 되리라고는 생각도 못 했는데...
12.01.26 18:03
이참에 꾸중 들을 소리 하나만 더 할게요. 몇 년 전 미분양 아파트 문제가 심했을 때, 전 재개발 등으로 집을 잃고 쫓겨나는 사람들한테 아파트를 보상금으로 살 수 있을 정도로 싸게 팔면 기껏 지어놓고 아예 안 팔려서 빈집으로 놔두는 것보다 낫지 않겠냐고 생각했습니다.
by 힐링포션
JSA를 베이스로 해서 플래툰도 나오고 저격수 얘기도 섞이고 하면서 전쟁영화스럽게 그려진다. 아예 JSA 2탄 쯤으로 방첩대 장교라는 설정에 맞게 관찰자적 모습이 강했으면 어땠을까 싶지만. / 이 전쟁에서 근근히 살아서 집에 간 사람들이 다시 오발탄을 맞는다는 게 참...
12.01.26 01:52
반백 년도 더 전의 배경인데도 인물들이 무척 현실적이라서 몰입하여 봤다. 그때나 지금이나 세상은 변하지 않은 걸까? / 연극에도 어울릴법한 생략되고 간결한 연출이 (예산 확보나 촬영 자체의 어려움 때문이기도 했겠지만) 오히려 신선했다.
by kz
14-3) 잘못 생각했다. djmapnik에 넘기기 위해선 그 자체가 QuerySet이어야 하는데, simplify는 이미 QuerySet에서 각 item을 뽑아온 이후에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djmapnik 안에서 simplify를 호출해야 되나?
12.01.25 18:47
python manage.py syncdb 하나 통과하는 게 이렇게 어려운 거였나;
by kz
15-6) mapnik을 본격적으로 활용할 차례인데, 우선 mapnik이 진짜 유일한 혹은 최선의 방법인가에 대해서는, OpenLayers를 통해서 이미 준비된 지도 위에 간단한 정보만 표시하는 게 어떠냐는 답변이 많이 보이는데, 지도 이미지 자체 표시랑은 다르지.
12.01.25 17:08
python manage.py syncdb 하나 통과하는 게 이렇게 어려운 거였나;
by kz
모모
그런 건 따로 관리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전 그런 주변머리는 없지만, 이벤트나 경조사비용 비상금 통장해서요...
12.01.25 16:22
직장생활 n년차 봇인데, 여전히 통장의 월급은 스치울 뿐이라 특단의 조치를(!) 내렸습니다. 이제 수익에서 딱 용돈 빼곤 죄다 저금/적금에 넣기로... 사실 옛날에 했어야 하는 일인데,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이렇게 되었네요. 이제 사이버머니처럼 실체 없는 월급은 그만 ;ㅅ;
by tnm
모모
그러게요... 'ㅡ' 그래도 적금을 좀 들고, 묶어놓고 그러면 낫지 않을까요? ;ㅅ;...
12.01.25 15:57
직장생활 n년차 봇인데, 여전히 통장의 월급은 스치울 뿐이라 특단의 조치를(!) 내렸습니다. 이제 수익에서 딱 용돈 빼곤 죄다 저금/적금에 넣기로... 사실 옛날에 했어야 하는 일인데,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이렇게 되었네요. 이제 사이버머니처럼 실체 없는 월급은 그만 ;ㅅ;
by t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