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질문: 동계 스포츠 종목들은 우리나라가 한랭 기후대가 아니기 때문에 국민체육으로 보급될 수 없다. 그렇다면 엘리트 체육으로 남을 수 밖에 없는 종목들에 국가대표를 뽑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으며 국제대회에서 수상을 하는 것이 어떤 가치가 있는가? 09.07.28 17:43

미투 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HappyGeo HappyGeo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에요. 사실 '동물원'이 새긴 것이 제국주의적 관점에 의해서 생긴 것이랍니다. 자기네 나라에 없는 동물들을 보는 것. 식민지 지배 국가의 자랑이었겠지요.

09.07.28 19:02
HappyGeo HappyGeo

우리 기후에 적절핮; 않은 스포츠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그러한 동계 스포츠는 레저 스포츠로만 남아 있으면 좋겠는데, 그 동계 레저 스포츠에 ㅐ한 열망이 강하고 사회적으로 중산층적인 스포츠라 분류되니 정부도 후원하지 않을까요?

09.07.28 19:03
HappyGeo HappyGeo

하지만 다양성적인 차원에서 국가가 동계 스포츠 분양서 엘리트 스포츠를 지원하는 것은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스타'로 인해서 대중화되는 경우가 많기도 하니깐요. 그리고 그 기후대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면 충분히 누리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에요.

09.07.28 19:05
kz kz

동계 스포츠 즐기는 분들한테 욕먹을 거 같아서 올려놓고 ㄷㄷ했는데 의외로 반응이 없다.

09.07.28 20:19
아라크넹 아라크넹

한랭 기후대가 아니더라도 스키는 많이 타잖아요? 그런 면에서 다양성을 위한 거라고 보는 게 더 적절해 보입니다.

09.07.29 01:25
kz kz

스키는 이미 많이 타고 있고, 스케이트는 예전에도 논에 물 얼려서 썰매를 타기도 했으니 말 그대로 동계 한정이긴 하지만 의미가 있긴 하죠.

09.07.29 01:29
kz kz

하지만 가령 봅슬레이라면 장비 한 대에 억 대의 돈이 든다고 하고 속도도 엄청나고 해서 도저히 저변확대가 될 것 같지 않거든요.

09.07.29 01:30
kz kz

스키점프는 위험성을 스스로 감수한다고 보면 하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긴 하겠네요. :)

09.07.29 01:32
kz kz

'지역적 계절적 특성 때문에 저변이 존재하지도 않고 앞으로도 없을 것 같은 종목에 국가대표라는 게 무슨 소용인가'로 질문을 고칠 수 있겠네요.

09.07.29 01:33
kz kz

지역적 계절적 특성 때문에 저변이 존재하지도 않고 앞으로도 없을 것 같은 종목에 국가대표라는 게 무슨 소용인가? 이건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자메이카 봅슬레이 국가대표 가 도대체 무슨 의미냐고!? 개인이 그냥 하는 거랑 국가대표가 있는 거랑은 차원이 다른 얘기일 텐데.

14.01.2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