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경우, 지역방송국 앵커들은 일부러 그 지역 액센트를 사용한다고 한다. 물론 지역주민들과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서다. 한국의 경우 지역방송 뉴스를 전하는 앵커들이 어딘가 이상한 서울말을 구사하느라 고생하는 것과 비교된다. ' - 전체 글은 기준설정과 억압을 다룸. 09.07.11 15:09
대한민국 교육 사투리 나이 억압 기제 지위 권위 다양성 무시 멸망 _ 사회학 이데올로기 권력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부산에서 유학온 1년 후배 여학생의 말이 서울로 올라오기 하루전에 큰아버지가 부르시더니 '너는 서울가도 부산사람이니 부산사투리를 잊으면 안된다!' 하시더랍니다. 정말 훌륭한 분이다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에… 근데. 뭐랄까. 현재 방송에서 사투리를 사용하는건 무척 비하적인 의미로 인식되고 있잖아요.
특히나 전라도 같은 경우엔. 방송에서 전라도 사투리가 나오면 뭐… 거의 다.
뉴스의 경우엔 표준어를 사용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드네요. 뉴스를 보는 사람이 꼭 그지역 주민만은 아닌거니, 정확한 내용전달을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어희를 사용하는게 맞겠죠.
ㄴ 어휘라고 해서 지역간에 서로 못 알아들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뉴스에 언급될만한 어휘군이라면 더 그렇다고 봅니다.
내용전달에 있어서 사투리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고 하더라고요.
+ 언어본능 책에서 비슷한 사례를 다루었음. 단어 활용에서 표준어에는 없는 불규칙 동사를 쓰는 야구 캐스터가 있어서 많은 지탄을 받았지만 가열차게 꾸준히 방송을 했다고.
부산에서 유학온 1년 후배 여학생의 말이 서울로 올라오기 하루전에 큰아버지가 부르시더니 '너는 서울가도 부산사람이니 부산사투리를 잊으면 안된다!' 하시더랍니다. 정말 훌륭한 분이다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09.07.11 15:22에… 근데. 뭐랄까. 현재 방송에서 사투리를 사용하는건 무척 비하적인 의미로 인식되고 있잖아요.
09.07.11 15:26특히나 전라도 같은 경우엔. 방송에서 전라도 사투리가 나오면 뭐… 거의 다.
09.07.11 15:26뉴스의 경우엔 표준어를 사용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드네요. 뉴스를 보는 사람이 꼭 그지역 주민만은 아닌거니, 정확한 내용전달을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어희를 사용하는게 맞겠죠.
09.07.11 16:43ㄴ 어휘라고 해서 지역간에 서로 못 알아들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뉴스에 언급될만한 어휘군이라면 더 그렇다고 봅니다.
09.07.11 17:08내용전달에 있어서 사투리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고 하더라고요.
09.07.12 19:21+ 언어본능 책에서 비슷한 사례를 다루었음. 단어 활용에서 표준어에는 없는 불규칙 동사를 쓰는 야구 캐스터가 있어서 많은 지탄을 받았지만 가열차게 꾸준히 방송을 했다고.
10.03.06 2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