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범죄 분석 정보 가 한정적으로 공개됐다. 1) 범죄 기록의 수집과 축적이 애초에 축소되는 성향이 있다는 걸 염두에 둬야 하겠고 2) 수집된 자료의 분석도 애매한 경우들이 많아서 약간 부정확한 걸로 알고 있고 3) 다른 사회통계와 합산해야 의미를 알 수 있을 것. 12.07.20 15:44
내가 한다면, 적절한 자료를 손에 넣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가로등 분포 및 지하주차장 등 으슥한 곳의 분포와 범죄 발생 위치를 비교해보고 싶다.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