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created content (혹은 user generated content, UGC)란 결국 '개개 사람들이 작성한 무엇'이라는 뜻이고 단어로 정리하면 '직접'과 '창작'이 핵심이 될 겁니다. 그렇다면, 직접 활동한 결과물을 촬영해 게시한 데다 '실력도 안 되는 게' '남들 다 하는 건데' 라고 반응하는 게 오히려 이상한 거죠. / 길가 풀더미에 핀 이름 모를 꽃이 아름답다고 느낄 때가 있듯이, 어쩌다 본 유튜브의 일반인 창작물을 보고도 얼마든지 훌륭하다고 느끼고 감동을 받을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모두가 선수고 모두가 천재라서 본좌급 작품만 생산할 수 있는 것도 아닌 바에야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산물에 비난이 달리는 게 당연한 듯 받아들여지는 상황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디씨 같은 특화된 공간 안에서만이라면 서로 까대는 게 나름 재미이긴 하겠습니다만 이건 좀 다른 얘기가 되겠죠.
본래 의미는 무언 가요?
08.11.04 01:04(정말 몰라서 묻는 거에요 ㅎㅎ)
08.11.04 01:04user created content (혹은 user generated content, UGC)란 결국 '개개 사람들이 작성한 무엇'이라는 뜻이고 단어로 정리하면 '직접'과 '창작'이 핵심이 될 겁니다. 그렇다면, 직접 활동한 결과물을 촬영해 게시한 데다 '실력도 안 되는 게' '남들 다 하는 건데' 라고 반응하는 게 오히려 이상한 거죠. / 길가 풀더미에 핀 이름 모를 꽃이 아름답다고 느낄 때가 있듯이, 어쩌다 본 유튜브의 일반인 창작물을 보고도 얼마든지 훌륭하다고 느끼고 감동을 받을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모두가 선수고 모두가 천재라서 본좌급 작품만 생산할 수 있는 것도 아닌 바에야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산물에 비난이 달리는 게 당연한 듯 받아들여지는 상황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디씨 같은 특화된 공간 안에서만이라면 서로 까대는 게 나름 재미이긴 하겠습니다만 이건 좀 다른 얘기가 되겠죠.
08.11.04 01:30사회체육과 엘리트체육의 차이, 그리고 어느 쪽이 옳은 방향인가에 대한 논의까지 끌어들이긴 ... 너무 많이 가는 거겠죠.
08.11.04 01:35ucc를 보는 입장과 사회 체육에 대한 아쉬움 두 가지 모두 동의합니다.
08.11.04 02:56국내에서 비인기 아닌 것이 있기는 한가 싶다. 스포츠 도, 정치 도, 사회 도, 문화도.
12.08.03 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