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메커니즘은 궁극적으로 내부적 공간의 이질화를 낳는다. 한국의 경우를 예를 들자면 이런 것이다. 서울과 서울 아닌 공간 사이의 이질성을 이런 세계화의 메커니즘은 만들어낸다. 서울은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주변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밖에 없다. - 스타벅스 이야기 08.08.01 22:05
세계화 문화 소통 흐름 분리 격리 communication flow globalization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eg. “ 세계의 별다방이란 구호를 걸고 있는 스타벅스…..그러나 강원도 영동지역에는 한군데도 없다…세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 ”
선거 결과의 지역적 분포 를 보자면 (투표율이나 세부적인 득표 분포까지 고려해야 정확하겠지만 일단), 서울은 대한민국과 다르고, 그 중에서도 강남은 또 다르다 .
eg. “ 세계의 별다방이란 구호를 걸고 있는 스타벅스…..그러나 강원도 영동지역에는 한군데도 없다…세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 ”
10.08.17 16:38선거 결과의 지역적 분포 를 보자면 (투표율이나 세부적인 득표 분포까지 고려해야 정확하겠지만 일단), 서울은 대한민국과 다르고, 그 중에서도 강남은 또 다르다 .
12.04.12 0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