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불펌이 아닌 링크까지 제한하는 것은 어디에 근거하나요? 링크만으로도 침익이 발생한다고 보는 논리가 있는 것입니까? 08.05.12 20:09

미투 4 아샬 헤이 우림 달가락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fupfin gEEkInsIdE

그러게요. Web에 대한 상식이 있는 것인지.. 링크 걸리기 싫으면 왜 웹에 올렸을까요.

08.05.12 21:21
parxisan parxisan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허위의식'이죠.

08.05.12 23:25
민노씨 민노씨

어떤 맥락인가요? (궁금)

08.05.12 23:28
우리V병윤 우리V병윤

All the published pages on the web should be public, I think. 

08.05.12 23:48
kz kz

예전 기상청과도 별로 좋지 않은 기억이 있고, 이번에 환경관리공단과도 좋지 않은 결론이 났습니다. 많은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이 링크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고 온신협에서 제시하는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이라는 것도 링크를 여러 종류로 나누고 엄격한 제한을 요구합니다. / 정보의 완결성이나 통합성 유지라는 면에서 일견 납득이 가는 점도 있긴 합니다만, 링크가 웹의 존재 방식이자 근본이라는 점과 아울러, 여러 이종 정보를 연결하고 분석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권장되는 이른바 웹2.0 시대에 왜 온라인에 올라와 있는 정보의 이용을 제한하는 것은 강화되거나 강한 채로 유지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 어떠한 논리가 있다면 그 논리를 파악해서 납득이 되면 납득을 하고 납득할 수 없으면 관련규정을 해석하고 대응 논리를 개발하는 것이 경직된 문화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것이며, 개인적인 연구에 한 축으로 삼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08.05.12 23:49
민노씨 민노씨

제 말은 위 단상을 적게 한 그 발아점이 궁금하다는 것이었는데 말이죠.. ^ ^; 블로그에서 접한 내용인가요?

08.05.13 03:37
kz kz

직접적인 계기는 첫째 문장이고 특별히 어떤 글을 읽고 떠오른 생각은 아닙니다. 아시다시피 링크에 대한 불합리한 시각은 이미 오래된 얘기니까요. 두 번째로 답답한 전화통화를 하고 나니 욕하고 한탄만 할 게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대응을 해야 되겠다 싶어서요.

08.05.13 0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