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플리커 장애 에 대응이 늦다면서 3류 기업 운운하는 사람이 나왔다. 토요일과 일요일을 계산에 넣으면서 말이다. 왜 대한민국에는 업무일 기준 계산법을 거부하는 이른 바 '고객'이 많은 것일까? 전화기 혹은 모니터 건너편에도 사람이 있다는 걸 알아주면 좋겠다. 08.03.04 01:39

미투 2 beckgom 백일몽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아침놀 아침놀

외국 나와서 살아보니 업무일 기준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그나저나 저 에러는 너무 심했어요.. 적용 후 한 번이라도 클릭해봤다면 발견했을 오류인데 최소한의 테스트도 없이 그냥 적용시켜버리다니...

08.03.04 02:33
아침놀 아침놀

그나저나 장애 전과 후의 차이점 발견. 이 도움말 내용이 바뀌었네요. 그 전에는 한국어 서비스가 아직 안 되고 있다고 나왔었는데, 아마 해당 부분에 한국어 번역을 추가하면서 오타로 인해 버그가 발생한 듯합니다...;;

08.03.04 02:45
kz kz

아이 예리하셔라! ;)

08.03.04 02:51
골빈해커 골빈해커

플리커의 대응이 늦은 것이 잘못된 이유는 웹은 제품이 아니라 '서비스' 이기 때문입니다. 웹 서비스 업체에서 일하는 사람은, 개발자라도 서비스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게다가 플리커는 유료 서비스도 하지않습니까)

08.03.04 10:16
박상 sh.

저는 생각이 좀 달라요. 제가 유료 사용자라 그런지 몰라도 주말내내 장애를 방치한다는 건 말이 안되죠. 업무시간 내 처리가 원칙이라면 주말에는 사이트를 닫아버리는 방법이 있겠죠. 하지만 웹 서비스를 하는 목적이 언제든지 서비스하기 위함아니 적절한 답은 아닐거구요. 3류기업 운운하는 것도 적절하진 않아 보이지만 이번 사건은 플리커가 잘못 한 거 아닐까요?

08.03.04 11:11
우유과자 우유과자

주말에만 플리커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사람은 어쩌라고요

08.03.04 11:16
kz kz

말씀 고맙습니다. 저는 '무한책임주의'가 인간의 존엄 과도 연결된다고 보아 걱정하는 것입니다. '업무일 외의 대응이 필요하니 호출하면 언제든 뛰어와라'에서 '납기일에 맞춰야 하니 가지 말고 야근해라'가 읽히는 건 괜한 비약일까요?

08.03.04 11:46
kz kz

우유과자 , -_-;;

08.03.04 11:48
kz kz

자기 전엔 죽어라고 안 끝나던 플리커 업로더가 방금 해보니 된다. 기다려 줄 수야 있지만 장애가 꽤 오래 가는 건 의아스럽다. 어쩌면 안정버전 코드를 버전관리 없이 날려버린 게 아닐까?

08.03.11 05:16
kz kz

일전 플리커 3류 운운 건에 올블로그에 관련된 분이 말씀을 주신 적이 있고, 나는 불편했다. 올블로그 채용 취소 건을 이제 와 곱씹어 보면 그때 내가 무엇을 느끼고 불편해 했는지 알 수 있다.

08.04.11 0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