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회도서관 1900년대 역사사진 3천장 플리커에 공개 - 우리나라에선 'OO 사업'이란 이름으로 억 단위의 돈을 들여 하나 만들었겠지. 08.01.22 22:32
사진 기록 공개 정부 사업 예산 archive flickr integration 활용 연계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와 죽이네요... 좋은 정보 고마워요!
매우 공감가는 지적 -_-;
비슷한 걸로 국가기록사진이 있다. 국정홍보처와 한국정책방송 사이트에서만 검색된다. 홍보라고는 안 한 모양. 게다가 이런 건 국정홍보처 정도가 아니라 국가기록원에서 해야 마땅한 일 아닌가?
기상사진 특별전이라는 걸 한 모양인데, 기껏 디카로 촬영할 것을 조건에 걸어놓고는 오프라인 전시만 하는지 온라인에선 사진을 못 찾겠다. 공개가 어려운 것도 아닌데, 왜 그런 생각을 안 할까?
기상사진전 결과를 온라인에 전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찾는 것도 보는 것도 편하지가 않다. 그냥 외부 사이트에 올리면 안 되나?
의회도서관 플리커나 백악관 플리커 가 어떻게 가능한가 했더니 조달청 비슷한 데서 각 서비스 제공자와 정부용 약관을 협의했다 고 한다. 국민들이 이미 활용하는 서비스에 정부가 참여해 국민과 정부의 상호작용을 촉진 하는 한편 대민외교 효과도 있으니, 아 정말 부럽다.
와 죽이네요... 좋은 정보 고마워요!
08.01.22 22:37매우 공감가는 지적 -_-;
08.01.23 00:40비슷한 걸로 국가기록사진이 있다. 국정홍보처와 한국정책방송 사이트에서만 검색된다. 홍보라고는 안 한 모양. 게다가 이런 건 국정홍보처 정도가 아니라 국가기록원에서 해야 마땅한 일 아닌가?
08.01.23 02:08기상사진 특별전이라는 걸 한 모양인데, 기껏 디카로 촬영할 것을 조건에 걸어놓고는 오프라인 전시만 하는지 온라인에선 사진을 못 찾겠다. 공개가 어려운 것도 아닌데, 왜 그런 생각을 안 할까?
08.03.02 20:54기상사진전 결과를 온라인에 전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찾는 것도 보는 것도 편하지가 않다. 그냥 외부 사이트에 올리면 안 되나?
09.03.22 02:15의회도서관 플리커나 백악관 플리커 가 어떻게 가능한가 했더니 조달청 비슷한 데서 각 서비스 제공자와 정부용 약관을 협의했다 고 한다. 국민들이 이미 활용하는 서비스에 정부가 참여해 국민과 정부의 상호작용을 촉진 하는 한편 대민외교 효과도 있으니, 아 정말 부럽다.
09.04.30 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