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구조 설명을 여기저기 찾아보고 다시 살펴보니 어떤 식인지는 알겠다. 몇몇 부분은 아직 이해를 못 했지만. 10.06.19 22:13

.shp 파일 은 ArcView라는 걸로 보면 된다고 하길래 깔아봤는데 깔다가 거의 다 된 시점에 에러가 나고는 안 깔렸다.(...) 느린 서버 위의 가상머신이라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렸는데 이러면 곤란 -_- libshp라는 것만 걸리는 걸로 봐서 리눅스에선 접근 못 할 듯 by kz

미투 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kz kz

1) .csv와 .xml로 뽑아낸 내용은 각각 동일한 순서로 맞춰져 있다. 즉 별도로 고유키가 부여된 것은 아니므로 직접 확인해야 한다.

10.06.19 22:14
kz kz

2) .csv 내용은 다양한 .shp마다 다른 걸로 봐서 어떤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내게 필요한 정보가 있는 것을 취사선택하면 된다.

10.06.19 22:19
kz kz

3) .xml 구조는 벡터값을 담고 있는데 .shp마다 동일하다. 경위도 좌표로 점이 쭉 찍혀 있으므로 그대로 가져다 뿌릴 수 있겠다.

10.06.19 22:20
kz kz

4) 다만 .xml에 PART > START들은 뭐하는 건지 모르겠다.

10.06.19 22:24
kz kz

5) BOX는 해당 폴리곤이 차지하는 영역이 계산되거나 지정된 값일 테니까 차트를 그릴 때 필요한 공간이 그만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10.06.19 22:24
kz kz

그렇다면... 구역별 폴리곤은 있으니 차트 자체는 그릴 수 있는데, 각 폴리곤이 어떤 행정구역에 속하는지 대조할 수 있어야 하고, 행정구역을 인식할 고유번호가 필요하다.

10.06.19 22:29
kz kz

cont. 고유번호로 법정동 코드가 있긴 하지만 (동·리 단위까지 부여되어 있다는 점은 좋지만) 1100000000 같이 10자리 번호라서 복잡한 차트에서는 지나치게 URL이 길어질 수 있어서 피하고 싶다.

10.06.19 22:35
kz kz

3-1) 위경도를 픽셀 좌표로 바꾸는 절차가 필요한데 proj 같은 게 이걸 해주나? 위경도를 평면 상에 투영해야 하므로 메르카토르 도법 같은 게 필요하고 따라서 단순 수식만으로는 처리하기 곤란할 것이다.

10.06.19 23:53
서상현 서상현

SpatiaLite는 어떤가요? 예전 경험 을 공유합니다.

10.06.20 00:29
kz kz

서상현 오오 이런 게!!! 고맙습니다!!!!!

10.06.20 00:32
kz kz

pyshp 라는 게 나와 있는 걸 발견. 적용해보니 잘 읽어준다. 굳이 다른 프로그램을 써서 XML로 뽑아내는 짓은 안 해도 되겠다.

12.01.03 1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