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각 판단지점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가능성들이 그 뒤에 이어지는 문장의 정보들에 의해 삭제되고, 문장이 끝나는 지점에서는 ... 단 하나의 나무구조와 그와 관련된 의미가 또렷이 드러날 것이다.” 근데 “컴퓨터 분석기는 너무 꼼꼼해서 손해를 본다.” 무의미한 구조도 찾는다. 10.03.18 10:54

언어본능
작가 | 스티븐 핑커
출판 | 동녘사이언스
미투 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kz kz

체스 같은 보드게임을 하는 경우 몇 수 앞을 내다본다고 하는데, 이런 사람들이 언어 면에서도 기계와 같은 범위우선탐색으로 여러 예비 구조를 동시에 소화할 수 있을까?

10.03.18 10:55
kz kz

이 장의 서두에는 튜링머신이 벌이는 문법적 분석과 어휘 복제의 말장난이 나오는데, 결국 이 장의 핵심은 '외부세계에 대한 지식과 인간적 언어감각'이 없이는 그냥 구조나 알 수 있을 뿐이라는 것 같다.

10.03.18 11:00
kz kz

인간은 일련의 잡음도 언어로 인식한다는 설명 뒤에 기계적 음성인식은 제한된 어휘·화자를 인식하는 데 그친다고 대조 하는 부분과 컴퓨터 분석기는 너무 꼼꼼해서 손해를 본다. 무의미한 구조도 찾는다는 서로 배치되는 얘기인 건가? 비교해서 다시 읽어봐야 되겠다.

10.10.09 1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