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이 이론적 수준에서, 가치와 신념의 차원에서 그리고 운동의 차원에서 신자유주의를 부정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의 정책적 대안에 있어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는 싫든 좋든 이미 우리의 현실이 되었다. ...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들인 것이다. 09.11.12 00:18
위기의 노동 인용 p29 현실 적응 현실감각 환경 세계화 신자유주의 대응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p38 자본의 자유화에 일방적으로 치중된 현재의 왜곡된 세계화에 대다수 사회구성원이 겪는 생활상의 위협과 불안정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힘은 여전히 국민국가의 정치적 권력이며 경제에 대한 의식적·정치적 개입이다.
p38 자본의 자유화에 일방적으로 치중된 현재의 왜곡된 세계화에 대다수 사회구성원이 겪는 생활상의 위협과 불안정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힘은 여전히 국민국가의 정치적 권력이며 경제에 대한 의식적·정치적 개입이다.
09.11.12 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