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기성세대는 자신들이 없는 돈에 공부했고, 세대 간 계층 상향 이동을 했기 때문에 후대도 약간의 조건만 갖춰지면 이게 가능할 거라고 믿는다. ... 그러나, ... 산업사회 정착 이후의 저소득 계층에 대한 대책은 그 전과는 달라져야 한다. ' 09.10.06 09:52
시대 역사 발전 여지 빈틈 피라미드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현 기성세대의 가장 큰 착각은 자신들이 성장해 온 시절의 경험이 지금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것. 그 때와 지금은 전-_-혀 다르다.. 또한 현재의 20-30 세대들도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이기도 하다.
지금 세상에 패기와 도전으로 뭘 하라는 게 사실 무리라고 본다. 정주영이나 이병철은 그때 살았기 때문에 그런 업적이 가능했고, 그들이 없었더라도 다른 누군가 같은 업적을 이루었으리라 본다.
개천에서 용은 커녕 이무기도 안난다는 우스개소리에 참… 답답하네요;; 지금 윗분들은 이런 것에 별 생각이 없으신듯;;;
미국에서, 부모 직업이 자식 직업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 가 점점 높아졌다고...
지금도 신화는 나오긴 하지만, 대기업 총수 신화까지는 나올 수가 없죠…
대한민국 공익광고제 에서 인쇄 부분 은상이 된 게 ( 표절 이 아니라 고 하는 건 차치하고) 이 부분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검색결과가 안 맞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도 문제고.
현 기성세대의 가장 큰 착각은 자신들이 성장해 온 시절의 경험이 지금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것. 그 때와 지금은 전-_-혀 다르다.. 또한 현재의 20-30 세대들도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이기도 하다.
09.10.06 09:54지금 세상에 패기와 도전으로 뭘 하라는 게 사실 무리라고 본다. 정주영이나 이병철은 그때 살았기 때문에 그런 업적이 가능했고, 그들이 없었더라도 다른 누군가 같은 업적을 이루었으리라 본다.
09.10.06 09:55개천에서 용은 커녕 이무기도 안난다는 우스개소리에 참… 답답하네요;; 지금 윗분들은 이런 것에 별 생각이 없으신듯;;;
09.10.06 09:59미국에서, 부모 직업이 자식 직업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 가 점점 높아졌다고...
09.10.06 10:02지금도 신화는 나오긴 하지만, 대기업 총수 신화까지는 나올 수가 없죠…
09.10.06 10:02대한민국 공익광고제 에서 인쇄 부분 은상이 된 게 ( 표절 이 아니라 고 하는 건 차치하고) 이 부분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검색결과가 안 맞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도 문제고.
13.11.27 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