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2day

이 책을 먼저 봐서 겹치는 부분이 있다는 건 대강 기억이 났다. 09.09.26 04:25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작가 | 존 스토리
출판 | 현실문화연구(현문서가)
미투 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kz kz

패턴이 결정화되는 것은 이를 테면 내가 개콘에서 서로 다른 코너를 패러디하는 것이 발전의 동력이라고 보았던 것이 결국 대중문화의 (나쁜) 속성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인데, 내 관점이 그럼 완전히 잘못된 것인가?

10.03.22 06:01
kz kz

대중음반의 80%가 망한다는 것에서 필사적인 판매자를 말하고 거기서 오히려 소비자가 능동적이라고 하는 부분은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10.03.22 06:01
kz kz

cont. 오히려 그러한 다양성의 소멸과 그에 따른 상품의 편중은 규모의 경제에 따른 문화독점을 야기하고 결국 문화 빅브라더의 형성 내지는 헤게모니 구성체에 의한 대중문화 조작이 (소수만 조작하면 되므로) 더 편해지는 결과를 낳지 않을까?

10.03.22 06:01